부산·대구·광주·대전·울산, 도심융합특구로 혁신성장 추진…판교형 테크노밸리 조성

기업 투자·청년 일자리 창출 위한 복합혁신공간 조성 도시 규제 완화·맞춤형 주거 지원으로 지역 경쟁력 강화

2024-11-11     장영호 기자

정부가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을 도심융합특구로 지정하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도시개발위원회 심의를 거쳐 도심융합특구 지정 및 기본계획 승인을 완료했다고 7일 밝혔다. 이를 통해 지방 대도시 중심부에 판교형 테크노밸리를 조성하며 지역 혁신성장을 견인한다는 구상이다.

도심융합특구는 산업·주거·문화가 결합된 복합혁신공간으로, 기업투자 유치와 청년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한다. 특구 내 입주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과 고밀도 복합개발을 지원하며, 청년 종사자들에게는 주택 특별공급 및 주택기금 연계 대출 등의 맞춤형 주거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창업지원주택과 청년특화 임대주택 등도 마련된다.

특구별로는 지역별 산업 특화 전략이 마련됐다. 부산은 센텀2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스마트선박, 로봇, 지능형기계 산업을 육성하며 부울경 메가시티의 핵심 공간으로 개발된다. 대구는 도심항공교통(UAM), 첨단로봇, 반도체를 중심으로 신산업 혁신거점과 창업허브를 구축한다. 광주는 상무지구 인근에 미래 모빌리티와 의료디지털 산업을 육성하며, 대전은 KTX 대전역세권을 활용해 R&D 산업 확산과 UAM 환승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울산은 모빌리티, 이차전지, 수소 산업을 중심으로 산업혁신의 거점으로 자리매김한다.

국토교통부는 부산과 대구에서 각각 17017규모의 특구 사업을 착공하며 속도감 있게 추진할 방침이다. 이상주 국토도시실장은 “6개월 만에 기본계획 수립을 완료한 것은 지자체와의 협력 덕분이라며 앞으로도 범부처 협력을 강화해 특구를 지역 성장거점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