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조건축 산책] 건축이 탄소 회계에서 흑자로 전환하려면…
목재는 재생이 가능한 생물학적 탄소의 결합체이다. 대기에서 흡수한 탄소를 격리하고 있으며 자연 복원력이 뛰어나므로 시간만 주어지면 다시 생산할 수 있다. 건축재로 착한 목재를 사용하는 한 탄소 회계에서 적자를 내지 않는다. 그런데 왜 콘크리트나 철강 등의 무기질 재료에 그 자리를 내주었을까?
목재는 자연이 만든 재료이기 때문에 인공의 무기 재료보다 현대 건축구조 해석을 충분하게 만족시킬 수 없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구체적으로 수직 증축을 요구하는 현대 건축에서 나뭇결 방향의 수직 강도에는 만족하지만, 이들을 연결하는 수평 방향의 강도는 약하다.
따라서 바람이나 지진에 저항하는 횡압력에는 버티는 힘이 부족했다. 또 화재에 대한 안전성 결여도 빼놓을 수 없다. 이러한 이유가 탄소 집약적인 강철과 콘크리트와 같은 고강도 고내구성을 가진 자재에 밀려나는 동인(動因)이 되었다.
그런데 이는 건축이 탄소 회계에서 회복 불가능한 적자의 틀을 벗어날 수 없도록 옥죄는 원인을 제공한다. 즉 환경운동가들에게 지구 환경 위기의 원인이 산림의 전용으로부터 온다는 빌미를 주었다. 이들은 목재를 건물에 사용되기보다는 계속해서 환경에 좋은 일을 하도록 땅과 같이 있어야 한다는 악마의 굴레를 씌우면서 목재를 두 번 죽이고 있다.
그러나 그 굴레가 풀리기 시작한 것은 EPD(Environmental Product Declaration, 환경성적표지)의 제품환경인증이다. 목재가 지닌 생물학적 탄소는 사용과정에서 항상 흑자 회계라는 것이 밝혀지면서부터다.1) 건축재의 내재 탄소로 만성 적자의 족쇄를 벗어야 하는 현대 건축이 좌고우면(左顧右眄)할 여유가 없다. 목재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현대 설계 및 건설의 요구에 맞게 목재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맞춤화가 시작되고 있다. 목재는 재창조되고 새로운 기술로 그 가치를 진화시키고 있다.
그러니까 지속가능성과 환경에 대한 책임을 중시하는 현대 건축이 가야 할 길을 목조건축이 제시하기 때문이다. 이는 기후 정책에 건물의 탈탄소화와 기후 복원력에 초점을 두겠다는 드 샤일로(de Chaillot) 선언2)과도 일치한다. 특히 매스팀버와 같은 공학목재는 제조 공정을 통해 목재 층을 접착제와 결합하여 자재의 강도, 안정성 및 치수 일관성을 최적화하고 있다. 즉 나뭇결 방향과 그 수평 방향을 수직으로 겹겹이 적층 하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의 나무로 큰 구조 요소를 견딜 수 있게 만들었다.
최근 건축자재 및 서비스에 대한 환경성적표지(EPD) 인증 정보공개의 요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인증받은 자재를 건축물에 시공하면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 이미 생물학적 탄소의 흐름의 계정 방법을 국제표준 ISO 219303)에서 다루고 있다. 대표적인 생물학적 탄소의 집약체인 목재는 다른 건축 자재와 달리 건물이 수명을 다할 때까지 탄소를 격리하고 있다. 나무는 자라면 탄소를 대기에서 끌어오고 이 탄소는 목재에 저장된 채 건축물로 변환된다. 따라서 목재와 건축이 만나면 탄소의 격리는 최적화되고, 저장은 최대화되며, 배출은 최소화되는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건물의 탄소 회계는 복잡하다. 목재는 건설사가 목재에 저장된 탄소가 일관되고 투명하게 평가되도록 정보를 충분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향후 접근 방식에 따라 그 정보가 평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1) How to Include Biogenic Carbon in an LCA. Part 2 in a series on biogenic carbon accounting for wood products – specifics for each stage of the life cycle. https://www.woodworks.org/resources/how-to-include-biogenic-carbon-in-an-lca/
2) Buildings and Climate Global Forum–Declaration de Chaillot (2024.03.08. UNEP) https://www.unep.org/news-and-stories/press-release/buildings-and-climate-global-forum-declaration-de-chaillot
3) ISO 21930:2017 Sustainability in buildings and civil engineering works — Core rules for environmental product declarations of construction products and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