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답사수첩] 한반도 동쪽 끝, 호미곶

2024-06-12     김진섭 건축사·건축사사무소 라온
호미곶 상생의 손. (사진=김진섭 건축사)

호미곶은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장기반도의 끝이며, 영일만을 이루면서 돌출한 곳이다. 조선의 풍수지리학자 남사고(南師古)가 ‘산수비경(山水秘境’에서 한반도는 호랑이가 앞발로 연해주를 할퀴는 모양으로 백두산은 코, 이곳을 꼬리에 해당한다고 묘사하였으며 ‘조선십경’의 하나로 꼽았다. 호랑이는 꼬리의 힘으로 달리며 무리를 지휘한다고 하여 호랑이 꼬리는 국운의 상승과 국태민안의 상징이기에 호미곶에 일제는 쇠말뚝을 박아 우리나라의 정기를 끊으려 하였으며 한반도를 연약한 토끼에 비유해 이곳을 토끼 꼬리로 부르기도 하였다.
고산자 김정호는 대동여지도를 만들면서 이곳을 일곱 번이나 답사 측정한 뒤 우리나라의 가장 동쪽임을 확인하였다고 한다. 섬을 제외하면 대한민국 본토의 최동단에 위치한다.

해돋이의 명소
대한민국 내륙에서 가장 해가 먼저 뜨는 곳이다. 포항시의 옛 이름인 '영일(迎日)'이 해를 맞이한다는 뜻이며, 해안의 대부분은 암석해안으로 해식애가 발달하였다. 울산광역시의 간절곶과 비교하면 호미곶이 경도상 훨씬 동쪽에 위치해 있어 1년 중 대부분은 호미곶에서 먼저 뜨지만, 지구 자전축이 기울어진 겨울에는 같은 경도라도 해도 위도가 낮을수록 해가 더 일찍 뜨게 되고, 1월 1일의 새해 첫날 전후로는 간절곶에서 해가 먼저 뜬다.

2000년 새천년 해맞이 행사 때부터 관광단지로 개발되기 시작했고 대보리 일대에 탁 트인 수평선과 해돋이를 볼 수 있는 해맞이광장이 만들어졌다. 광장 안에는 편의점과 풍력발전소 1기, 그리고 청동 수상(手像) ‘상생의 손’이 있다. 2000년 해맞이를 기념해 1999년에 설치한 상생의 손은 가장 성공적으로 알려진 현대미술 작품으로 호미곶 하면 손부터 떠올리는 사람도 많아졌을 정도이다. 두 개의 손 중에서 바다 위에 있는 손이 일출 장면과 엮여 압도적으로 유명하다.

상생의 손 바로 옆에는 한국 유일의 국립등대박물관이 있다. 1908년에 이곳에 호미곶 등대가 지어졌기 때문이다. 호미곶 광장 뒤에는 커다란 원 모양의 새천년기념관이 있다. 5층 전망대에서 호미곶 전체의 풍경을 볼 수 있다. 내부에는 포항시의 역사, 화석과 수석이 전시되어 있다.

해맞이 광장에서 보는 호미곶 등대. (사진=김진섭 건축사)

해마다 12월 31일 ~ 1월 1일이 되면 정동진, 간절곶 등과 함께 전국에서 수만 인파가 호미곶에서 새해 일출을 보기 위해 몰려들어 아수라장을 연출한다. 해맞이에 많은 인파가 몰리기도 하고, 유명한 관광지여서 공원이 잘 조성되어 있다. 이곳은 해풍이 상당하기 때문에 가을과 겨울철에는 연을 날릴 수 있는 좋은 장소가 된다. 상생의 손 근처에 가면 나무로 된 다리를 조성해 놨고, 바닥에는 투명유리가 있는 구간이 있어 해양 생물들을 관찰할 수 있다.

상생의 손
상생의 손은 모두 두 개인데, 오른손과 왼손이 각각 바다와 육지에 위치해 있다. 오른손은 높이 8.5미터, 무게 18톤의 청동으로 이루어져 있고 왼손은 높이 5.5미터, 무게 13톤, 마찬가지로 청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생의 손은 국가행사인 호미곶 해맞이 축전을 기리는 상징물이다. 새천년을 맞아 모든 국민이 서로를 도우며 살자는 뜻에서 만든 조형물인 상생의 손은 두 손이 상생(相生)을 의미한다.

바다 위에 있는 오른손이 일출 장면과 엮여 압도적으로 유명하다. 성화대의 화반은 해의 이미지이며, 두 개의 원형 고리는 화합을 의미한다. 2000년 새천년 해맞이 행사를 위해 1999년 12월에 조각가 영남대학교 김승국 교수가 제작했으며, 명칭은 이어령 대한민국 새천년준비위원회 위원장, 대구은행의 협찬 당시에 붙인 이름이다.

바다에 있는 오른손의 손가락에는 갈매기가 앉아 있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오른손은 왼손과는 달리 색깔이 바랬는데 새똥 때문에 더러워진 것이다. 한 스쿠버다이빙 동호회가 해마다 청소를 한 적이 있는데 갈매기의 분뇨를 놔두는 쪽이 오히려 자연스럽다는 의견이 있어 한때 중단한 적이 있지만, 이 행사로 인해 호미곶을 전국에 알리는 효과가 더 크다는 인식이 확산되어서 2008년 해당 행사를 다시 시작했다.

출처 : 나무위키
호미곶 해맞이광장 
주소 : 경북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해맞이로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