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로 보는 세상] 봄 프로젝트
2024-02-26 함성호 시인
봄 프로젝트
- 정진혁
뻐꾸기는 울 때 뻐꾹뻐꾹 울지 않는다
뻐억~꾹 뻐억~꾹 울면서
송홧가루가
목에 걸린 듯 울면서
느린 맛 하나를 온 마을에 툭 던져 준다
봄을 우리는 봄이라고 부르면 안 된다
봄은 보~~오~~ㅁ이라 불러야 한다
기다렸다고 기다렸다고
보~~오~~ㅁ
가지 말라고 가지 말라고
보~~오~~ㅁ
부르며
계절 하나를 우리 가슴에 묻어 둔다
계절 하나를 아껴 써야 한다
뻐억~꾹 뻐억~꾹
보~~오~~ㅁ 보~~오~~ㅁ
계절 하나가 목에 턱턱 막히며
자꾸 길어진다
- 정진혁 시집 ‘드디어 혼자가 왔다’ 중에서/ 파란/ 2023년
플라톤의 대화록 ‘크라튈로스’에는 오노마(ὀνομά, 고유명사, 일반명사,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 동사와 형용사를 가리킨다)와 언어의 대상과의 관계에 대한 얘기가 나온다. 크라튈로스는 봄(대상)은 봄(언어;오노마)이어야만 하는 필연적인 관계라고 주장하고, 헤르모게네스는 그런 필연적인 관계는 없다고 주장한다. 어느 쪽이든, 적어도 시에서 만큼은 마치 오노마가 대상과 필연적인 관계로 느껴진다. 봄이 봄이 아니라면 대체 무엇이란 말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