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어촌뉴딜300 사업 신규대상지 50개소 선정…3년간 총 5000억 원 투입

해양수산부, 2024년까지 3조원 투입해 어촌환경 개선 나서

2021-12-08     서정필 기자
2022년도 어촌뉴딜300사업 대상지 위치도 (자료=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는 12월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어촌뉴딜300’ 사업 신규 대상지 50개소를 발표했다. 이로써 지난 2019년부터 추진돼 온 ‘어촌뉴딜300’ 사업 대상지가 모두 결정됐다.

‘어촌뉴딜300’ 사업은 낙후된 어촌·어항을 현대화하고 어촌 특화개발을 통해 어촌의 활력을 높이는 정부의 대표 지역밀착형 생활SOC(사회간접자본) 사업이다. 2019년부터 2024년까지 국비 2조 1,000억 원과 지방비 9,000억 원 등 총 3조 원이 투자되는 역대 어촌지역 최대 투자사업이다.

◆최종 50곳 선정, 3.74대 1 경쟁률 기록

이번 신규 대상지 선정에는 11개 시·도와 54개 시·군·구에서 187곳이 신청해 3.74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신규 선정 대상지를 지역별로 보면 ▲전남 16개소 ▲경남 8개소 ▲충남 7개소 ▲경북 3개소 ▲강원 3개소 ▲전북 3개소 ▲제주 3개소 ▲인천 3개소 ▲부산 2개소 ▲경기 1개소 ▲울산 1개소 등이다.

사업비는 1개소 당 평균 100억 원으로 3년간 모두 5,00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지난 2019년 시작한 1차 년도 사업 중에는 ▲전남 신안군 만재도 ▲충남 태안군 가의도 북항 ▲인천 강화군 후포항 등 대표 사업지가 준공된 바 있다.

해양수산부는 준공 후 여객선 선착장 등 해상여객시설 개선으로 지역주민들이 육지를 더 편하게 왕래하고, 지역특산물을 활용한 특화사업을 안정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되는 등 사업성과가 잇달아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내년에 시작되는 사업은 크게 지역 밀착형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공급, 지역자원을 활용한 어촌특화개발, 지역재생을 통한 어촌마을 살리기를 목표로 진행된다.

◆지역주민 체감 성과 창출 노력…포스트 어촌뉴딜 시범사업 추진

내년도 사업 가운데 지역 밀착형 생활 SOC 공급의 대표 지역은 전남 신안군 병풍항과 고성군 좌부천항이다. 경남 고성군 포교항과 인천 강화군 외포항은 지역자원을 활용한 어촌특화개발지역으로 선정됐다.

충남 태안군 학암포항과 서천군 다사항은 인구 감소와 노령화 등으로 침체된 어촌에 창업플랫폼과 귀어인 유입 촉진을 위한 기반시설을 확충하는 지역재생 사업으로 진행된다.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은 “어촌뉴딜300 사업을 내실 있게 추진해 어촌·어항 재생기반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어촌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