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청사가 녹색건축을 선도한다!
지방이전 공공청사, 지역거점 에너지절약 녹색모델로 건축
노후된 기존 공공청사 10개소는
녹색 리모델링으로 새롭게 단장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녹색건축 구현을 위해 혁신도시 신축청사 및 중앙부처 소속기관 기존청사의 녹색건축 시범사업 추진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공공기관 녹색건축 선도방안」을 9월 6일 국무회의에 보고하였다고 밝혔다.
혁신도시로 이전․신축하는 청사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고, 기존 공공청사도 그린 리모델링을 통하여 에너지 소비 절감을 추진하겠다는 것이 주요 보고내용이다.
혁신도시 이전청사 녹색건물 신축방안의 주요 내용을 보면 우선, 신축청사의 에너지 소요량을 연간 300kwh/㎡(에너지효율 1등급)보다 15% 이상 향상된 연간 250kwh/㎡ 될 수 있도록 추진된다. 기존 건축물이 연간 500Kwh/㎡(에너지 효율 5등급) 이상 사용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에너지 효율이 50% 이상 향상되게 된다.
특히, 혁신도시별로 1개소 이상 청사를 선정하여 에너지효율 1등급 기준 보다 50%이상 효율이 향상된 연간 150Kwh/㎡ 를 사용하는 초 에너지절약형 녹색청사를 시범적으로 건설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초에너지절약형 녹색청사 시범사업은 소요재원 규모, 이전기관의 추진의지, 기대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 선정하고, 추가적으로 건축비가 소요될 것을 감안하여 추가 사업비 일부를 재정에서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해 나가기로 하였다.
아울러, 한국전력공사, LH공사 등 지역선도기관 청사는 에너지 절약․친환경, 디자인 요소를 갖춘 지역대표 녹색건축물로 건설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건축정책위원회 내에 공공건축 지원센터(가칭) 운영방안을 검토하는 등 설계자문, 녹색기술 등을 지원하고, 적정 사업비도 인정해 주기로 하였다.
기존 청사의 녹색 리모델링 추진 방안은 2005년 이전 건축된 연면적 5,000㎡ 정도 규모의 중앙부처 및 소속기관 청사를 대상으로 상징성 있는 공공청사를 선정(총 10개소), 기존청사 에너지소비량의 50%이상을 절감하여 에너지효율등급 1~2등급 수준으로 개선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키로 하였다. 이를 위해, 시범사업 계획, 사업효과, 지원의 적절성 등을 평가하여 대상기관을 선정하고, 리모델링 시 에너지성능 개선 부문에 대한 사업비 지원 방안을 강구하기로 하였다.
국토해양부는 에너지절약형 기술이 집적된 시범사업 추진 등을 통해 공공부문의 에너지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는데 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혁신도시 이전청사 건축비가 10조원 수준임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 녹색건축기술과 태양광,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 고효율 냉․난방시스템과 조명기구 등 녹색건축자재 산업 등의 발전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공공지방이전 청사는 총 공사비의 40% 이상의 공종에 지역건설업체가 참여, 지역의 녹색건축기술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여 혁신도시가 지역 녹색성장 거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혁신도시 이전청사 건축비가 10조원 수준임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 녹색건축기술과 태양광,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 고효율 냉·난방시스템과 조명기구 등 녹색건축자재 산업 등의 발전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공공지방이전 청사는 총 공사비의 40% 이상의 공종에 지역건설업체가 참여, 지역의 녹색건축기술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여 혁신도시가 지역 녹색성장 거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이전 공공기관 신축청사 에너지 절약형 설계내용
□ 한국전력공사
이중외피에 의한 외부 자연환기와 열덕트 시스템을 이용한 내부 자연환기가 가능토록 하고 지중 축냉 및 태양광 발전 시스템 등 신재생에너지 사용을 극대화
□ 한국도로공사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설비, 지열 냉․난방 시스템, 고효율 LED 조명기구 등 에너지 절약 기법을 도입하고 어린이집은 일반 건축물 대비 유지관리비용이 1/6수준인 2.5L 패시브(Passive) 건축물로 신축할 계획
□ 한국석유공사
창면적비를 43%로 계획하고, 중수 및 우수 재활용시스템, 자연채광, 옥상녹화 등의 친환경 시설을 도입 하였으며 고효율 LED 조명 및 인체감지센서를 적용한 조명제어시스템을 스마트화하여 에너지절감 극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