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학동 해체공사 비상주감리, 현대산업개발이 주도

감리계약 권한 없다던 현대산업개발, 조합대신 비상주감리 선정

2021-10-06     박관희 기자

17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광주 해체공사장의 간접 원인으로 꼽히는 ‘비상주 감리’ 계약을 현대산업개발이 주도한 것으로 밝혀졌다.

현대산업개발은 참사 당일 비상주 감리자에게 감리일지를 작성한 것처럼 꾸미라고 지시하는 등 증거조작을 시도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이형석 국회의원은 10월 5일 열린 경찰청 국정감사에서 “최근 입수한 자료와 증언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현대산업개발이 권한이 없다던 해체공사 감리 선정과 사고 원인이 된 비상주감리 결정에 깊숙이 개입한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의원에 따르면 현대산업개발 노 모 부장은 감리업체가 선정되기도 전인 2020년 11월 26일 감리 O 모씨와의 전화통화에서 감리 비용 산출 문제를 놓고 상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 모 부장은 감리비용을 5,000만 원으로 정하고 조합을 대신해 감리자와 비상주 감리 계약을 맺었다. 결국 현대산업개발이 사고 원인이 된 비상주감리를 결정한 것이다.

이 의원은 “광주 학동 붕괴 참사 이후 현대산업개발은 반성은커녕 진실을 왜곡하고 부정하는 것에만 급급하다”며 “현대산업개발은 참사로 인해 고통 받고 있는 유가족과 피해자 가족들에게 책임을 인정하고 진정한 사과의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