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3일부터 올해 국가안전대진단 실시…노후·고위험 시설 등 2만3,000곳 점검

강원·전북 시작으로 11월까지 45개 기관·시도별로 평균 32일간 실시 기관별로 추진 시기 분산…최근 사고 빈발 분야 중심 빅데이터 등 이용해 대상 선정

2021-08-20     서정필 기자
지난해 경기도 의정부시의 국가안전대진단 모습 (사진=의정부시)

지은 지 오래되고 위험도가 큰 시설물의 안전을 점검하고 위험요인을 찾아 개선하기 위한 국가안전대진단이 시작된다. 행정안전부는 8월 19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올해 국가안전대진단 추진 계획을 확정해 발표했다.

계획에 따르면 8월 23일 강원도와 전라북도를 시작으로 11월까지 28개 중앙행정기관과 17개 시·도가 기관별로 약 한 달(평균 32일)간 국가안전대진단을 진행한다.

행안부는 “(예년과 달리) 이번에는 기관별로 추진 시기를 분산하고, 노후·고위험 시설 위주로 점검대상 2만3,000여 곳을 선정해 점검의 실효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라고 전했다.

◆기관별로 자율적으로 시기 정해…노후·고위험시설 위주 대상 선정

정부는 우선 각 기관과 시·도가 나름의 ‘코로나19’ 방역상황과 점검 대상 시설의 특성, 지역 사정 등을 고려해 8월∼11월 중 자율적으로 추진계획을 세워 시행토록 했다.

기관 간 역할도 다시 나눴다. 컨트롤타워 역할을 담당할 행정안전부는 관계기관 및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해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각 부처는 소관 분야별 실행계획을 마련하게 된다. 각 지자체는 행정안전부의 기본계획과 부처 실행계획을 반영해 지역 특성에 맞는 점검계획을 수립해 추진한다.

안전 점검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도 담겼다.

특히 최근 대형 사고가 발생했던 해체 건설공사장, 물류창고를 비롯해 산사태 취약지역 등 고위험 시설과 점검 필요성이 높은 분야를 중심으로 2만3,000여 곳을 선정해 합동점검을 시행한다.

점검대상은 최근 사고가 빈번히 발생한 분야와 통계 및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와 주민 의견수렴 등을 통해 선정됐다고 행안부는 설명했다.

◆범국민 자율안전점검 실천운동 실시…사후관리체계도 강화

국가안전대진단 시행과 함께 범국민 자율안전점검 실천 운동을 펼치고 홍보를 강화하는 등 국민 참여 안전문화 확산·정착에도 힘을 쏟기로 했다.

가정 및 다중이용 시설에 대한 자율안전점검 확산을 위해 자율안전점검표를 배포하고 개인이 이력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안전신문고 기능을 개선했다고 행안부는 설명했다.

사후관리도 강화된다. 점검 결과, 개선이 필요한 시설에 대해서는 신속하게 보수·보강을 추진하고, 주기적 확인을 통해 관리하도록 할 예정이다.

또 안전정보 통합공개시스템을 통해 국가안전대진단 후속 조치 및 점검 결과를 공개하고, 지도 기반 모바일서비스 제공을 통해 안전 정보에 대한 접근성도 향상됐다.

7월 8일 오후 건축사회관 1층 대강당에서 열린 ‘제2기 건축사 재난안전 지원단’ 발대식

한편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 재난안전지원단은 지난 2019년 행정안전부로부터 재난관리 자원으로 지정된 바 있으며, 이후 ‘국가안전대진단’ 정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적극 활동 중이다. 지난 7월에는 성공적으로 임무를 마친 제1기에 이어 소속 건축사 332명이 함께 한 ‘제2기 건축사 재난안전 지원단’이 발대식을 갖고 활발한 활동을 약속했다.

행정안전부는 국가안전대진단에 대한 활동에 대한 공로로 지난 1월 대한건축사협회에 ‘2020년 국가안전대진단’ 유공 대통령 표창을 수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