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7만5,083가구 공공임대·공공분양주택 등 입주자 모집
서울 12,341가구, 수도권 43,356가구 등 안정적 물량 지속 공급 계획
국토교통부는 8월 3일, 올해 하반기 공공임대, 공공분양,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입주자 모집 계획을 확정·발표하고 올해 12월까지 전국 총 7만5,083가구에 대한 입주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7만5,083가구는 작년 하반기보다 약 1만2,000가구, 올해 상반기보다는 5,000가구 정도 증가한 것으로 정부는 무주택 서민의 주거안정과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공공주택 등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대 공급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공공임대주택은 서울 1만772가구를 포함해 수도권에는 3만1,809가구, 부산·대전·광주 등 비수도권에는 2만6,033가구를 공급한다.
수도권에 공급되는 31,809가구의 30%는 행복주택으로 시세 대비 60∼80% 수준의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돼 청년층과 신혼부부 등의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고 안정적인 거주를 지원한다.
공공분양주택은 수도권 8,324가구를 포함해 전국 1만2,315가구에 대한 입주자를 모집한다. 이 중 3,401가구는 단지 내에 육아시설이 결합되고 통학 길 특화 설계와 층간소음 저감 설계가 적용된 신혼희망타운으로 공급되어 신혼부부의 부담 가능한 내 집 마련을 지원한다.
아울러 정부는 일반 공공분양주택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분양되는 ‘공공자가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올해 하반기부터 3기 신도시와 2.4대책 사업지구 등에 부지확보를 추진하는 등 부담 가능한 내 집 마련 기회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은 8년 이상 거주를 보장하고 초기 임대료를 시세보다 저렴하게 책정해 무주택 서민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지원하는 주택으로 수도권 3,223가구를 포함해 전국 4,926가구에 대한 입주자를 모집한다.
정부는 무주택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공공주택과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을 꾸준히 공급해 나가면서 지역별 상황과 수요를 반영한 특화임대주택 공급도 확대한다. 일자리 연계형, 고령자 복지주택 등 특화임대주택은 각 지역의 주거·산업 등 현안과 연계해, 지역 내 주거 기반 강화 등 주거복지 수준을 제고하면서 산업 활성화 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 8월 중에는 특화임대주택 신규 사업을 추가로 추진하기 위해 지자체 및 공공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신규 사업지 통합 공모'를 진행해, 앞으로도 특화임대주택을 지속 건설·공급한다.
아울러 정부는 보다 많은 국민이 더욱 쉽게 공공임대주택을 이용할 수 있도록, 그간 복잡했던 공공임대주택 유형을 하나로 통합하고 소득기준도 완화한 '통합공공임대주택'을 '22년부터 전면 도입할 계획이다.
공공임대주택 등 청약신청은 한국토지주택공사, 서울주택도시공사, 경기주택도시공사 등 공공주택사업자별 입주자모집 공고에 따라 누리집, 현장접수 등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