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전관리 협력체계 구축해 건설공사 사고사망 50% 감축 나서
하반기, 감리·시공사 등 안전실태 평가 예정 건설공사장 안전실태 평가 통한 시·군과의 협력체계 구축 2022년까지 현장 사고 사망자 절반 감축 목표
경기도가 건설공사 현장 사고 사망자 감축을 위한 ‘건설공사자 안전관리 협력체계’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협력체계 구축은 ‘노동자 중심 건설공사자 안전혁신 방안’의 일환으로, 인·허가권자인 시군의 안전실태 확인·관리를 한층 더 강화함으로써 자칫 발생할 수 있는 건설공사장 내 사고를 예방하는 데 목적을 뒀다.
올해 2월 기준 경기도 내 건설공사가 진행 중인 현장은 약 1만8,000여 곳으로, 이중 약 61%인 11,000여 곳이 민간사업장이다.
민간건설공사의 경우, 인·허가권자인 시·군이 공사 진행과정에서 안전관리사항을 포함한 허가조건 이행 여부를 확인해야 하지만, 관련 규정 이해와 전문성 부족 등의 이유로 이에 대한 보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속 제기돼왔다.
경기도에 따르면 최근 3년(2017∼2019년) 평균 도내 건설공사장 사고 사망자는 122명으로, 이중 약 60%인 72명이 50억 원 미만 소규모 민간 건설공사장에서 사고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지난해부터 도와 시·군과의 협력체계 방안을 마련, 건설공사장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도정 주요시책 지표에 시·군 건설안전 실태 평가사항을 반영해 실시하고 있다.
이에 더해 도는 시·군과의 강화된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올 하반기 시공사, 감리사 등 건설 관계자 안전관리 이행 여부에 대한 시군 건설공사장 안전실태를 내실 있게 평가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 상반기 중 국토교통부, 국토안전관리원, 고용노동부와 ‘안전관리 협력체계’를 구축, 이를 토대로 관계기관 역할분담, 안전관리 교육 등을 실시해 안전관리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안전 위험에 노출되는 건설공사장이 없도록 관리를 강화함으로써, 오는 2022년까지 도내 건설공사 현장 사고 사망자를 절반 이하(112명→61명)로 감축하겠다는 계획이다.
김교흥 경기도 건설안전기술과장은 “노동자 안전 관리는 중앙정부, 지방정부의 책무이자 의무”라며, “시군 및 관계 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으로 노동자 중심의 건설공사장 환경을 조성해 사고 사망자 50% 감축 목표 실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