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에 탄소배출 25% 줄이는 첫 스마트그린 산단 조성
정부, 스마트그린 산단 추진전략 확정 신규 조성 단계부터 기업혁신·환경성 고려 새만금에 RE100이 실현되는 최초 산단 조성 등 시범사업 2∼3곳 추진
앞으로 조성되는 산업단지는 탄소배출량이 종전보다 25%가량 줄어들고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그린’ 산업단지로 만들어진다. 1호 스마트그린 산업단지는 ‘새만금 국가산업단지’로 정해졌다.
국토교통부는 4월 7일 열린 제3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겸 제11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에서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스마트그린 산업단지 추진전략’을 확정했다.
스마트그린 산업단지는 ▲에너지자립화 ▲인프라 및 기업활동의 디지털화 ▲지속가능한 친환경화라는 3가지 요소를 구현하는 산업단지를 말한다.
정부는 지금까지 기존에 형성된 산업단지나 개별기업을 스마트그린 산단으로 전환하는 전략을 썼지만 앞으로는 산단 조성 시 방향을 바꿔 신규 조성 단계부터 스마트그린 단지로 조성하기로 했다. 새만금 산업단지는 이 같은 전략에 따라 만들어지는 첫 시범 단지다.
새만금은 권역에서 7GW의 대규모 재생에너지를 생산하고 관련 실증사업을 추진하는 등 재생에너지의 혁신 거점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여건을 활용해 새만금에 RE100(Renewable Energy 100%,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이 실현되는 국내 최초 스마트그린 산업단지를 조성, 스마트그린 산업단지의 선도 모델을 제시한다.
새만금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단에는 재생에너지 공급을 위한 지능형 전력망과 스마트 물류·교통, 그린 수소 생산기반도 갖춰진다. 2022년까지 산단의 한 구역 내에 30메가와트(MW) 규모의 육상태양광 발전소를 구축하고 재생에너지 직접 거래가 가능한 사업기반을 마련, 수요기업에 재생에너지를 공급한다.
이와 함께 국가 지정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해당 지자체의 제안을 받아 7월 중 사업지 1∼2곳을 추가 선정한다. 추가 사업지는 탄소 배출량 25% 이상 저감을 목표로 스마트그린 산업단지의 확산 모델로서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사업모델은 ▲에너지자립화 ▲인프라 및 기업활동의 디지털화 ▲지속 가능한 친환경화를 종합적으로 구현한다.
국가시범산단 조성 이후 2030년까지 스마트그린 산단 35개소 지정을 목표로 추진한다. 확산단계(2023년∼2030년)에서는 탄소배출 감축 목표를 25%에서 단계적으로 상향해 나가고, 중장기적으로 신규 산업단지 지정 시 스마트그린 산업단지로의 조성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탄소중립 이행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녹색건축 또는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을 받거나 신재생에너지설비, 스마트공장 등을 설치하는 입주기업에는 산업시설 용지를 우선 공급하거나 분양가를 인하해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재생에너지는 전력시장을 거치지 않고 직접공급을 허용하고, 발전시설에 대한 공유수면점·사용료 감면 등 관련 제도개선도 뒷받침된다.
백원국 국토부 국토정책관은 “탄소중립 시대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산업단지 조성 첫 단계부터 스마트그린화로 기획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새만금에 조성하는 국내최초 스마트그린 산업단지가 한국판 뉴딜과 탄소중립의 거점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