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지역건축안전센터 31개 시군 전역으로 확대

산업재해 예방 성과 및 향후 추진방향 발표

2021-04-01     박관희 기자
경기도청 전경(사진=경기도)

경기도 내 건축물의 안전점검과 건축공사장의 안전사고 예방 등을 위한 지역건축안전센터가 기존 6개 시군에서 31개 시군 전역으로 확대된다. 공동주택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건축 관련 전문가 120명으로 구성된 공동주택 품질검수단을 운영해 안전점검도 실시한다.

경기도는 3월 30일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온라인 기자회견을 갖고, ‘경기도 산업재해 예방 주요성과와 향후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기자회견에 따르면 경기도는 우선 지역건축안전센터를 확대한다. 경기도 내 건축물의 안전점검과 건축공사장의 안전사고 예방 등을 위한 지역관리 거점인 ‘지역건축안전센터’를 기존 6개 시군에서 31개 시군 전역으로 확대되도록 설치를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공공주택, 주상복합건축물, 주거용 오피스텔 등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건축‧소방 등 관련 전문가 120명으로 구성된 ‘공동주택 품질검수단’도 운영한다. 이들을 통해 ▲건축 ▲토목 ▲전기 ▲소방 등 10개 분야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도내 35개 소방관서 소속 총 110명의 소방패트롤팀을 활용, 1,135개 대형 공사장을 대상으로 화재안전기준 준수와 위험물 관리 실태를 불시점검하는 등 현장 관계인의 안전의식을 높이고 안전문화 정착을 도모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지방정부가 지역현안에 밝고 종합행정이 가능한 만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근로감독권한을 공유해 보다 촘촘한 산재예방 안전망을 구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총 26회에 걸쳐 중앙정부에 관련 법률 개정을 건의해 왔고, 현재 근로기준법 개정안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논의 중에 있다.

산업재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는데도 주력한다. 노동국을 중심으로 17개 부서가 참여하는 도 차원의 ‘산업재해 예방 부서협의체’를 상시 운영, 건설‧제조‧물류‧교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굴한 37개 과제를 지속 점검해 ‘매뉴얼화’를 추진하고, 법령‧제도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공론화를 꾀하는 등 산업재해 대응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올해부터 산재예방 지도 전담인력인 ‘노동안전지킴이’를 10개 시에서 31개 시군 전역으로 확대하고, 인력도 10명에서 104명으로 늘려 운영한다. 사업의 내실 있는 추진으로 유해‧위험 요인을 적극 개선해 나갈 방침이다.

김규식 경기도 노동국장은 “경기도는 향후 산업재해 예방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현장과의 소통과 신뢰를 기반으로 관련 기관단체들과 협력을 추진해 나갈 것”이며 “선제적이고 신속하며 정확한 정책을 추진해 ‘노동이 존중받는 공정한 세상’을 실현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