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에너지화 리모델링으로 건물에너지 부문 혁신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건물에너지 부문 혁신방안 논의 신축 건물 제로에너지 건축 의무화 추진 의견 제시돼

2021-03-29     박관희 기자
탄소중립을 위한 건물에너지 부문 혁신방안을 주제로 화상회의가 개최됐다. (자료=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유튜브 갈무리)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한 건물에너지 부문 혁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기존 건물의 제로에너지화 리모델링 추진이 필요하고, 신축 건물의 경우 제로에너지 건축 의무화 추진이 요구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를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자체와의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이다.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하 에기평)은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한 건물에너지 부문 혁신방안’을 주제로 각계 관련 전문가를 초청해 공개 화상회의를 개최했다.

패널로 참가한 김의경 인천대학교 교수는 건물부문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기존 건축물에 대한 적용 방안과 개별 연소기기 사용기반에서 전기화로 전환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의 해결방안 등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의경 교수는 선결과제로 ▲제도개선과 관련 기술개발 ▲기존 건물의 제로에너지화 리모델링 추진 ▲신축 건물의 제로에너지 건축 의무화 추진 ▲중앙정부와 지자체와의 협력 강화 등 4가지 방향을 제시했다.

임춘택 에기평 원장은 개회사에서 “건물부문은 발전, 수송, 산업과 더불어 온실가스 배출 4대 부문으로 획기적인 대책 강구가 필요하다”면서, “건물에너지 기술개발은 기존의 단열, 지열, 히트펌프, 조명, 에너지관리 기술에 환기방역, 건물태양광발전 등이 적절히 추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발제를 맡은 이승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050 탄소중립을 위한 건물에너지 미래상과 해외 주요국의 대응 방안을 설명했다.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더불어 그리드 엣지 등 구획 단위 에너지 공유 관리 시스템의 도입을 제시했다.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최준영 수석연구원은 탄소중립 사회를 위한 건물 냉‧난방 해법으로 히트펌프 기술에 대해 소개했다. 건물에너지 관리를 위한 수요‧공급 예측기술과 IoT 데이터 관리기술 등을 제시했다.

◆건축물 허가권 가진 지자체, 탄소중립 도시 건설에 역할 요구

장영수 국민대 교수는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제로에너지 건축물과 도시 단위 신재생에너지 네트워크의 보급이 필수적이며, 효율 향상, 신재생에너지, 스마트화의 3가지 전략이 융복합 될 수 있는 중장기적인 보급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정원 LG전자 책임은 탄소중립을 위해서 필요한 건물에너지 전기화를 강조하며 “전력수요 증가에 대비해 정부와 민간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해외 주요국은 신재생에너지로 인정하고 있는 공기열에 대해 “국내 신재생에너지 범주에 포함하기 위한 관련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박덕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센터장은 저탄소 혁신기술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고 제시하며, 이를 위한 수용성 확보 외에도 공정하고 신뢰성 높은 성능 검증 체계가 중요함을 강조했다. 더불어 “건물 단위를 넘어 커뮤니티 단위의 에너지 공유를 위한 정책 간, 기술 간 연계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좌장을 맡은 이성호 에기평 단장은 “건축물의 허가 권한을 가지고 있는 기초지자체와 광역도시계획 수립 권한을 가진 광역지자체 모두 에너지 자립, 탄소중립 도시 건설에 역할을 해줘야 하기 때문에 국가에서는 이에 대한 종합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