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 이상 노후학교,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로 변신
교육부,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조성 계획 확정해 발표 올해부터 5년간 18.5조 투입해 2835개 건물 새 단장
교육부가 2월 3일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종합 추진계획을 확정해 발표했다.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은 올해부터 2025년까지 총 18조50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건축 후 40년 이상 경과한 학교 건물 중 2835동(약 1400개교)을 개축 또는 새 단장하는 사업이다.
교육부는 사업에 대해 “교수학습의 혁신을 추진하는 미래교육 전환 사업으로, 한국판 뉴딜 10대 대표사업이자, 2021년 교육부 핵심정책 사업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추진계획에는 지난해 7월 사업 방향 마련 이후 교육청 협의, 학생·교사·학부모 등의 의견수렴, ‘기획자문위원회’ 검토를 거쳐 준비된 구체적인 사업 내용과 추진 절차 등이 담겼다.
교육부는 사업 기본 방향으로 ▲교육 과정과 교수 학습, 학교 환경을 통합 전환하는 미래학교 선도 모형 마련 ▲사전 기획부터 설계까지 학생·교사가 참여하는 사용자 참여 원칙 ▲학교별 특색 있는 미래학교 모형 마련 등을 꼽았다.
사업 핵심 요소로는 공간 혁신과 스마트 교실, 그린 학교, 학교 복합화 등이 포함됐다.
새 단장과 함께 기존 교실이 수강 인원, 수업 상황에 따라 분할·통합되는 등 유연하고 다목적으로 활용되는 공간으로 바뀌며, 무선인터넷, 학습 플랫폼, 디지털 기기 등을 구비한 첨단 스마트 환경이 구축된다.
아울러 친환경 건축 기법을 사용해 에너지 자급자족이 실현되며 생태교육 공간도 만들어진다. 일부 시설을 지역과 공유하고 주민과 함께하는 프로그램도 준비된다.
교육부는 이달 중 교육청별로 사업 대상을 확정하고, 오는 3월부터 7월까지 사전 기획을 거쳐 8월에 설계 공고를 내보낼 예정이다. 첫 삽은 내년에 뜬다. 대상 학교는 고교학점제·미래형 교과서 등 교육 정책과의 연계성과 환경 개선의 시급성 등을 고려해 선정된다.
교육부는 올해 761개 동을 선정하는 것을 시작으로 2022년부터 2025년까지는 매년 518개 동을 새로 단장할 예정이다. 총 사업비의 30%(5조5000억 원)는 국비로, 70%(13조 원)는 지방비로 충당한다.
교육부와 교육청은 전담 업무 조직을 편성하고, 17개 교육청 공동으로 ‘(가칭) 미래학교 지원센터’를 신설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관계 부처와 연계한 중앙지원협의체, 지방자치단체·관련 전문가·지역 시민단체 등과 함께 하는 지역협의체도 구성된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에는 코로나 이후 교육 대전환을 현실로 만들어나갈 추진계획을 담고 있다”며 “2025년을 고교학점제의 전면 도입 시기로 잡고 제대로 운영될 수 있는 학교 환경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