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층형 공공주택 제로에너지건축 시범사업 3개 단지 착공
기획‧설계단계부터 에너지 절감형 단지배치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와 LH는 제로에너지 건축물 보급‧확산을 위한 시범사업으로 과천지식‧남양뉴타운‧인천검단 3개 단지에 대해 제로에너지건축물 예비인증을 획득하고 공사 착공을 연내 완료한다고 밝혔다.
제로에너지 건축물이란, 단열성능을 극대화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고 신재생에너지 생산 및 모니터링을 통해 건축물 기능에 필요한 에너지 소요량을 최소화하는 녹색건축물을 말한다.
▲외벽과 창호부위 고단열·고기밀 자재적용을 통해 에너지요구량 최소화 ▲최적의 조명밀도 및 폐열회수 환기장치 등을 통해 에너지효율 최대화 ▲지붕 태양광 및 벽면 태양광 패널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생산으로 에너지 자립률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에너지 최적제어를 위한 건물에너지 관리시스템 등의 기술요소를 주로 적용한다.
고층형 공동주택은 단독주택 대비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설치 면적 확보가 어려워 에너지 자립률이 낮은 상황으로, 이번 시범사업 등을 통한 기술시연‧고도화 등을 추진 중이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 2017년 1월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제도 도입 후 선도사업으로 LH와 임대형 단독주택 시범사업을 추진해 단독주택 최초 본인증을 취득했고, 고층형 공동주택에 대해서도 공모를 통한 시범사업을 추진해 본인증을 취득하는 등 제로에너지 건축물 보급‧확산을 위한 시범사업을 지속 시행한 바 있다.
올해부터는 연면적 1,000제곱미터 이상 공공건축물에 대해 제로에너지 건축물 의무화를 시행했고, 2025년부터 연면적 1,000제곱미터 이상 민간건축물과 30세대 이상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제로에너지 건축물 의무화가 시행될 예정이다.
이번 시범사업에서는 공공주택의 층수, 유형, 규모별 에너지성능 비교를 위해 3개 단지를 선정‧추진한다. 기획‧설계단계부터 에너지 절감형 단지배치와 가성비 중심 최적 기술요소의 조합을 통해 제로에너지 건축물 성능을 확보해 기존 시범사업 대비 추가 공사비가 절반 이하 수준으로, 향후 민간 공동주택 단지로 보급‧확산을 꾀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적용된 패시브, 액티브 기술요소들은 현재 국내에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국토부는 경제성을 갖춘 기술들로 향후 공공주택의 에너지 성능 강화 및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상문 국토부 건축정책관은 “이번 고층형 공공주택 제로에너지 건축 시범사업 3개 단지의 착공을 계기로 요소기술 실증 및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2025년 민간부문 의무화에 대비하는 등 정부의 2050년 탄소중립 목표 실현을 위한 녹색건축 분야에 마중물 역학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