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후된 쪽방촌 밀집지역을 전면 정비, 내년 설계공모
공공주택지구로 지정고시, 도시재생 연계로 구도심 경제 활성화도 꾀해
대전역 인근 쪽방촌 밀집지역을 전면 정비하는 공공주택사업이 ‘先이주 善순환’ 방식으로 본격 추진된다.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 대전광역시(이하 대전시), 대전시 동구는 대전역 쪽방촌 공공주택사업에 대한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이 완료되어 공공주택지구로 지정(12월 7일 고시) 한다고 밝혔다.
대전역 쪽방촌은 현재 약 170여 명이 좁은 공간에서 거주 중이며, 국토부와 대전시는 공공주택사업을 통해 이 일대를 정비하고, 쪽방 주민들의 재정착을 지원하는 쪽방촌 정비방안을 지난 4월 22일에 발표한 바 있다. 대전역 인근 쪽방밀집지역(1만5,000제곱미터)과 철도부지(1만2,000제곱미터)를 포함해 약 2만7,000제곱미터 면적을 대상으로 대전동구․LH․대전도시공사가 공공주택사업 공동사업시행자로 참여해 총 1,400호의 주택과 업무복합용지 등을 공급한다. 쪽방 주민들을 위한 임대주택 250호와 청년층을 위한 행복주택인 대전드림타운 450호 이외에 지구 내 건물 소유주, 거주자 등을 위한 분양주택 700호를 공급한다.
공공주택 단지에는 지역주민들을 위한 건강증진센터, 공공도서관 등 생활SOC 사업도 병행 추진되며, 사업부지 내 상가 내몰림 방지 등을 위한 LH 희망상가도 운영할 계획이다. 대전역 쪽방촌 공공주택사업이 추진되는 동안에는 인근 도시재생 사업지역 내 숙박시설 임차 등을 통해 쪽방 주민들을 위한 임시 이주공간을 마련한다.
기존공동체 유지를 위한 돌봄‧자활 등 복지서비스도 공공임대주택 입주 시까지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공공임대주택 건설이 완료되면 쪽방주민들은 임시 이주지에서 공공임대주택으로 돌봄‧자활 시설 등과 함께 재정착하게 된다.
쪽방촌 공공주택사업을 포함한 대전역 원도심 기능 회복 및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한 도시재생뉴딜사업도 동시에 추진된다. 대전역 일원은 경부선 개통과 함께 철도 여객과 화물 수송의 요충지로서 상권이 발달되었지만, 신 도심지 개발과 주요 공공시설 이전 등으로 쇠퇴를 거듭해 중심지로서의 기능을 잃어가고 있어 도시재생뉴딜사업의 필요성을 인정받았다.
이러한 대전역 원도심 회복을 위해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추진해 경제 생태계를 복원하고 사회안전망 시스템을 강화할 예정이다.
앞으로 쪽방촌 공공주택사업 추진을 위해 2021년에는 설계공모, 주민의견 수렴 등을 거쳐 창의적인 건축 디자인, 효율적 단지 배치를 담은 지구계획을 수립하고, 2022년에는 조성 공사를 착수할 예정이다. 지구계획 수립 착수와 함께 사업시행자를 통한 보상 절차도 진행해 토지주 등에게 정당한 보상을 하고, 지구 내 자영업자는 공공임대주택 단지 내 상가 등을 제공해 영업 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러한 과정에 국토부, 대전시, 대전 동구, LH, 대전도시공사, 민간 돌봄시설 등이 참여하는 민‧관‧공 전담조직(TF)을 운영해 사업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쪽방 주민의 의견을 수렴해 세부 추진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김철기 국토교통부 공공택지개발과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쪽방주민들은 기존 쪽방보다 넓고 쾌적한 공간에서 보다 저렴한 임대료로 거주할 수 있게 되고, 오랫동안 낙후된 도심환경은 깨끗하고 쾌적하게 탈바꿈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