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랑·부산 북구 등 47곳 도시재생 뉴딜 신규 추진
일반근린형 33곳·주거지지원형 4곳·우리동네살리기 10곳 ’24년까지 1조7,000억 원 투입…일자리9,000여 개 창출 전망
정부는 제24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에서 올해 제2차 도시재생 뉴딜 신규사업으로 서울 중랑, 부산 북구 등 총 47개소를 선정했다고 11월 3일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신규 사업은 일반근린형 33곳, 주거지지원형 4곳, 우리동네살리기 10곳이다. 일반근린형은 주거지·골목상권 혼재지역에 공동체 거점조성 등으로 원도심을 활성화하는 사업이다. 주거지지원형은 도로정비 등 소규모 주택정비 기반을 마련하고 기초생활 인프라를 공급하는 사업이며, 우리동네살리기는 생활 밀착형 시설 공급 등으로 소규모 노후저층 주거지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이번 신규 사업은 광역 시·도가 지자체로부터 제출받은 사업계획을 평가해 선정 후보지를 추리고, 국토부가 이에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단을 통한 사업 실현가능성 및 타당성을 평가해 후보지를 선정했다. 마지막으로 도시재생특별위에서 후보사업의 계획 적정성과 국비지원 타당성 등을 심의해 최종적으로 47개소를 선정한 것이다.
이번에 선정된 47개 사업에는 ’24년까지 1조7,000억 원이 순차 투입되고, 총 616만 제곱미터의 쇠퇴지역에서 도시재생이 이뤄질 예정이다. 일자리는 마중물 사업을 기준으로 약 9,000개(건설단계 약 7,000개, 운영·관리단계 2,000개)가 창출될 것으로 국토부는 전망하고 있다.
47개 사업지에서 노후 저층 낙후된 주거지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1,972가구에 대한 집수리, 36가구에 대한 빈집정비가 추진되고, 공공임대주택 741호가 공급된다. 전선 지중화는 10개 사업지(총 9.05킬로미터)에서 추진된다.
또 구도심의 도시공간 혁신 및 상권 활성화를 위해 마을 주차장·문화시설 등 98개의 생활SOC 시설이 공급되며, 로컬푸드 판매·청년 창업공간 등 57개의 산업·창업지원시설을 건립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특히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통해 위험건축물 정비 등으로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그린뉴딜·디지털뉴딜 정책을 구현하는데 역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위험건축물정비(전남 해남·고흥), 방치 건축물 리모델링(대구 중구 등 5곳), 노후·미활용 공공시설 활용(경기 용인 등 12곳) 등을 통해 지역에 필요한 SOC가 공급된다.
아울러 총 37곳에서 제로에너지건축 또는 그린 리모델링을 적용, 환경친화적인 도시재생을 추진한다. 서울 양천과 경기 용인은 스마트기술요소(주차공유시스템·스마트 가로등 등)를 적용해 지역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계획이다.
올해 9월 1차로 선정된 23개 사업에 이어, 이번 2차 선정으로 47개 사업이 추가됨에 따라 올해 선정된 사업 수는 총 70개가 됐다. 또 연말 3차 선정을 통해 50개 내외의 사업을 추가 선정할 예정으로, 금년 선정 물량은 총 120개 내외가 될 전망이다. 한편,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시작한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선정된 사업은 총 284개로 전국 157개 지자체에서 사업이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공공임대주택공급 1만5,000가구(170곳), 빈집 정비 1,200가구(185곳), 주차장·도서관·공원 등 생활SOC 919곳 공급 등이 이뤄질 계획이다.
백원국 국토부 도시재생사업기획단장은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181개 지자체, 354개 사업으로 확대돼 이제는 전국사업으로 자리매김하게 됐다”며 “사업수가 증가하는 만큼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를 창출 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함께 사업을 보다 세밀하게 관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