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건축 스마트 심의 시대 열렸다…서울시, '스마트회의시스템' 구축
도계위 구성 이후 70년 만에 문서 기반에서 ‘스마트회의’로 ‘서울 도시‧건축’ 3D로 한눈에, 스마트보드로 양방향 소통도
서울시 도시・건축 관련 계획을 심의‧자문하고 주요 의사결정을 내리는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가 종전까지 문서로 진행하던 회의를 첨단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회의’ 방식으로 전환한다. 도계위가 구성된 1949년 이후 70년 만의 변화다.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도시・건축 관련 위원회에 특화된 ‘스마트회의시스템’을 구축하고 지난 2일 열린 ‘2002년 제12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시작으로 운영에 들어갔다고 9월 3일 밝혔다.
'서울 도시‧건축 열린 회의실’은 돈의문박물관마을 내 서울도시건축센터 1층에 마련됐다. 회의실 규모는 280.4제곱미터, 총 33석이다. 회의실에는 모니터, 스마트보드, 키오스크 등 첨단 스마트 장비들이 갖춰져 있으며, 코로나19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회의 책상은 1미터 이상 거리를 두고 비치됐다. 사이사이엔 유리 칸막이가 설치됐다.
회의실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버추얼 서울, 가상현실(VR) 경관시뮬레이션, 도시‧건축 위원회 통합관리 시스템 등이다. 도시 개발을 진행할 때 버추얼 서울을 이용하면 심의 단계에서부터 시뮬레이션을 보면서 계획안이 도시 경관이나 일조량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할 수 있다. VR 기기를 이용하면 대상지 일대 현황을 확인할 수도 있다. 회의 중에 스마트보드에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려 설명하거나 관련 내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건축 위원회 통합관리 시스템으로는 상정된 안건과 관련된 히스토리와 대상지 현황 등 심의 관련 정보를 알 수 있다.
종전에는 종이문서로 출력된 회의 자료나 개별 노트북으로 보면서 회의를 진행하다 보니 안건이력, 대상지 현황, 경관 시뮬레이션, 교통‧환경영향 같은 다양한 심의 정보를 신속하게 확인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서울시는 이번에 마련한 스마트시스템 회의실을 통해 안건을 입체적으로 확인하고 심의 전문성을 강화해 한층 빠르고 정확한 의사결정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으로 서울시는 스마트시스템 회의실을 ‘서울 도시‧건축혁신방안’ 전문 회의실로 운영할 계획이다. ‘서울 도시‧건축혁신방안’은 2019년 3월 서울시가 발표한 아파트단지의 도시성 회복 및 디자인 혁신을 위해 마련된 사전 공공기획이다. 도시계획 결정권자인 시가 정비사업 전 과정에서 주민과 함께 지역 경관과 역사 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입체적인 건축디자인을 기획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 외에도 서울시는 공공-전문가-시민 누구나 이용하는 소통‧학습의 장으로도 회의실을 활용할 방침이다. 현재 회의실에서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프리뷰 전시가 진행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안정되면 시민들에게 회의실을 개방할 예정이다.
이정화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단순히 건물을 짓는 것을 넘어 서울의 미래 100년 도시경관을 바꿀 창의적인 도시‧건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만큼 주요 의사결정을 내리는 도시‧건축 관련 위원회 운영도 진화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첨단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도시・건축 전문 스마트 회의시스템 구축을 통해 위원회 심의가 한층더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