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심사’ 등으로 공정성 한층 높인 공공주택 설계공모
2020년 대한민국 공공주택 설계공모대전 공모설명회 공정성 앞세운 심사위원회 구성 및 심사…복수등록제 채택으로 선택권 높여
국토교통부 및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7개 기관이 주최하고, 대한건축사협회가 주관하는 ‘2020년 대한민국 공공주택 설계공모대전’ 공모설명회가 7월 23일 대한건축사협회 1층 대강당에서 열렸다.
재작년부터 진행된 공공주택 설계공모대전은 올해로 3회째를 맞았으며, 다양한 수요계층의 사회적 특성과 요구를 반영해 각 분야 전문가 및 ‘국민과 함께 하는’ 설계공모다. 보다 나은 삶을 위한 주거공간을 마련하고, 공공주택에 관한 인식을 개선을 위해 지역 주민과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새로운 공공주택의 디자인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으로, 올해 공모는 ‘새로운 일상. 머물고 싶은 H.O.U.S.E’를 주제로 전국 16개 지구에서 시행된다. 공모 대상지는 ’18년 7지구, ’19년 11개 지구에 이어 올해 한층 확대됐으며 유형에 따라 4그룹으로 나뉜다.
김은정 국토부 공공택지관리과장은 “정부, 공공기관, 민간전문가의 협업으로 입주민·지역사회에 환영받을 수 있는 새로운 공공주택을 만들기 위함”이라고 목적을 설명하며 “코로나19 등 생활환경 변화에 따른 주거문화 변화를 반영해 주제를 선정했다”고 말했다. 또 “정부도 더 많이 고민해 건축사들이 제안한 창의적 계획이 실현될 수 있는 정책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설명회는 공모 개요, 공모 일정, 도서제출 및 작성, 심사위원회, 수상작선정, 특별건축구역 설명 등으로 이뤄졌다.
이번 공모의 가장 큰 특징은 한 사무소에서 2개 지구에 지원을 할 수 있도록 복수등록제를 채택, 선택권을 높였다는 점이다. 각 참가자(팀)는 등록 시 선택한 2개 또는 1개 지구에 대해 1개의 작품만을 제출할 수 있다. 또 단지 규모 및 설계비 등을 감안해 설계도판은 2매 또는 4매, 모형 제출이 없는 지구 등 지구별 제출물이 다르게 적용된다. 모형 등에도 비용 등을 고려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아울러 작년에 이어 올해도 건폐율 및 일조권 등 5가지 사항을 완화한 특별건축구역을 도입(7개 지구)해 창의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했으며, 설계용역비 규모에 따른 실적이나 기술심사 등은 따로 진행되지 않고 제출한 내용만 갖고 심사가 진행된다.
올해는 과거 심사위원회에서 심사위원장을 뽑는 방식과 달리 각 그룹별 1명씩 네 명의 심사위원장을 선임 후 심사위원회가 꾸려졌다. 운영위원 측은 “학연, 지연 등 기타 사항을 배제하고 몇 단계의 검토를 거쳤으며, 건축사, 교수 등 전문가가 포함됐다. 더해, 공정한 심사진행을 위해 오픈 실시간 방송을 통해 심사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심사 전 워크숍을 진행하며 지침이나 사업지구 등에 관한 현황을 사전 파악할 방침이다.
사회 겸 진행을 맡은 이명식 동국대 교수는 “공모전에 참여한 모든 작품 결과는 전국 7곳 KTX역사를 순회하며 전시된다. 또 당선작 심사는 실시간 방송을 통해 투명하고 공정하게 진행될 예정이다. 또 전시 중 대국민투표를 통해 가장 많은 득표를 받은 수상작은 국가건축정책위원장상 및 국토부장관상, LH사장상을 수여하고, 작품집도 발간할 것”이라며 참여를 독려했다.
공공주택 설계공모대전은 지난 6월 30일 공고 직후부터 7월 31일 17시까지 참가 등록 및 질의 접수를 받고, 질의 회신은 8월 12일 진행된다. 작품은 9월 28일 17시까지 온라인 및 현장 제출 방식으로 접수받고, 기술심사 및 본심사 1·2차(2차 발표심사)를 거쳐 11월 10일 최종 심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지구별 1위에는 설계권(계획·기본·실시)을 부여하고, 2위부터는 설계비 10% 내에서 최대 1억 원의 보상금을 차등하여 지급한다. 1·2차 공모전 정보 및 공모전과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2020 대한민국 공공주택 설계공모 대전’ 홈페이지(www.khousing.org)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