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 공장 지붕에 태양광 설치하면 비용 90%까지 대출

산업부, 재생에너지 사업에 추경예산 2710억 편성

2020-07-09     이유리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여파로 올해 유럽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1950년대 말 이래 최저치를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지난 6월 25일 블롬버그 통신을 통해 보도된 가운데, 국제에너지기구(IEA)와 유럽연합(EU) 등 세계 기구들이 재생에너지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정부와 각 지자체들 또한 다양한 사업들을 추진하며 재생에너지 보급과 홍보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 7월 5일엔 산업통상자원부가 제3차 추경예산안이 7월 3일 국회심의를 통과함에 따라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분야 6개 사업에 총 2710억 원 규모의 예산을 추가로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재생에너지 분야 추경 예산은 태양광·풍력 보급·확산 및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사업들로 구성됐다.
우선 태양광・풍력 보급·확산을 위해 금융과 보급 등에 초점을 맞춰 총 2450억 원 투자한다.

신재생에너지 ‘금융’지원은 ‘주민참여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와 ‘산업단지 태양광’ 두 분야에 대해 신설한 융자지원 사업이다. 발전소 주변 거주주민이나 주민으로 구성된 마을기업을 대상으로 재생에너지 사업 투자비용을 융자해준다.

공장주나 공장 지붕 등을 임대받아 발전사업을 추진할 개인·단체에게는 태양광 설비 설치비용을 최대 90%까지 융자 지원한다. 단 설치구역이 산업단지 등에 위치한 공장의 지붕, 주차장, 유휴부지여야 한다.

이와 함께 기존 농촌 태양광 융자지원사업에는 500억 원을 증액했다. 기존에 농촌 태양광 융자지원사업 예산이 조기 소진됐던 것에 대비한 방책이다.

신재생에너지 ‘보급’지원에는 550억 원을 투자한다. 주택, 상가건물 등 생활시설에 자가소비용 태양광 설치비용을 보조하는 예산을 확대하는 한편 국립 초·중·고교에 태양광을 설치해 재생에너지의 확산을 유도할 계획이다.

R&D 및 실증 인프라를 구축하는 신재생에너지 핵심기술개발사업, 태양광기업 공동활용 연구센터 구축 등의  사업에는 총 260억 원을 투자한다.

신재생에너지 핵심기술 개발에도 집중한다. 건물일체형 태양전지(BIPV), ICT 기반 재생에너지 O&M(유지보수) 플랫폼 등 차세대 유망분야 기술을 개발하고 해상풍력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자 200억 원을 투자한다.

산업부는 추경 예산의 조속한 집행을 위해 향후 1~2개월 내 각 사업별 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공고를 시행할 예정이다. 개별 사업에 대한 세부내용 및 지원요건 등은 각 사업별 공고 시 상세히 안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