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안전대진단 실시···건축물과 건설현장 ‘집중점검’

6월 10일부터 7월 10일까지, 건축사 등 민간전문가 참여해 실효성 제고

2020-06-09     박관희 기자

신종 코로나 대응에 정부의 가용 자원을 집중하기 위해 잠정 연기됐던 국가안전대진단이 내일부터 실시된다. 당초에는 2월 17일부터 두 달간 진행할 예정이었다.

행정안전부 등 관계부처는 6월 10일부터 7월 10일까지 한 달간 국가안전대진단이 실시된다고 밝혔다. 국가안전대진단은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시설관리주체 그리고 국민들이 함께 참여해 건축물과 시설물 등 사회전반에 대해 안전관리실태를 집중 점검하고 생활 속 안전 위험요소를 진단하는 예방활동이다.

올해 국가안전대진단에는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환경부 등 27개 중앙부처와 공공기관 등이 참여한다. 코로나19가 지속되는 상황을 고려, 어린이보호구역‧학교시설 등 국민인식조사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파악한 국민관심 분야와 건설공사장‧여름철 산사태 취약지역 등 위험시설 4만8,000여 개소를 대상으로 점검을 실시한다. 건설공사장 점검대상은 모두 1,137개소이다.

각 부처별로 수립된 점검 가이드에 따라 민간전문가가 참여하는 합동점검, 안전점검 실명제 등을 통해 책임성 있는 점검이 이뤄질 예정이고, 대진단 종료 이후에는 점검결과를 ‘국가안전정보 통합공개시스템’을 통해 공개하고, 보수‧보강이 필요한 시설은 정부 예산에 적극 반영해 개선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민관합동점검반은 시설관리부서, 유관기관과 함께 민간 전문가인 건축사 등이 참여해 국가안전대진단의 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다. 지자체별로 대동소이하지만 시설물안전법 대상 C등급 이하 건축물 등 시설물과 장마철 대비 건설공사장,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집중점검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국가안전대진단이 올해는 코로나19 대응과 병행하게 되어 작년에 비해 기간은 절반, 대상은 삼분의 일 수준으로 진행된다”면서, “그러나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어린이보호구역, 건설공사 현장 등에 대해서는 더 집중적으로 점검할 계획이고, 일선 담당자은 내 가족의 생명을 지킨다는 자세로 시설 하나하나를 세심히 확인하고 보완해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자료=행정안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