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소규모재생사업 75곳 선정
지난해에 이어 올해 큰 산불을 겪었던 강원도 고성군 주민들이 불 탄 목재를 활용한 굿즈 상품을 제작하는 공방 조성 소규모재생사업을 기획했다. 목공체험지도사를 양성하고 목공기술을 활용해 지역 경관을 개선하는 등 화재 피해를 역이용해 부가가치를 만든다는 발상으로, 올해 국토교통부가 선정하는 소규모재생사업에 선정돼 국비 1억 원을 지원받게 됐다.
불탄 목재 활용해 굿즈 상품 제작
오래된 골목에 테마 부여해 상권 활성화
국토부는 지난 21일 소규모재생사업지 75곳을 발표했다.0
규모재생사업은 주민이 1~2년 내에 완료할 수 있는 단위 사업 3~4개를 발굴한 뒤 지방자치단체가 신청하면 국토부의 평가를 거쳐 국비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주민과 지자체가 협력해 지역 내 소규모 사업을 직접 발굴하고 추진해보는 경험을 축적함으로써 향후 뉴딜사업을 원활히 추진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내기 위해 마련됐다.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선정된 총 145곳 가운데 32곳이 도시재생 뉴딜사업지로 선정됐다.
올해 사업에는 총 100억 원의 국비가 집행됐으며, 사업 한 곳 당 최대 2억 원을 지원한다. 총 138곳의 지자체가 신청해 1.8:1의 경쟁률을 보였다.
심사는 지역 특색 반영 정도와 뉴딜사업 발전 가능성 등을 중점에 두고 진행됐다. 마을공방, 골목길 등 지역 자원을 활용하거나 위에서 언급한 고성군처럼 협동조합을 양성하는 등 사업 지속 가능성이 드러난 곳들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국비 1억5천만 원을 집행받은 경주 성주군의 ‘성주읍성 동문 밖 어귀길 조성사업’의 경우 좁고 오래된 골목길을 테마 특색가로 조성해 골목 상권을 활성화시킨다는 계획을 내놨다. 충북 영동군은 오래된 고향역에서 페스티벌 등 다양한 문화활동을 시행하는 ‘고향역 문화플랫폼을 도시재생의 거점으로’를 소규모 재생사업으로 추진하게 됐다.
선정된 75곳 중 최대치인 2억 원의 국비를 배정받은 사업은 ▲서울 성동 ‘송정10길 골목길 정비사업’ ▲부산 금정 ‘부산대학로 생생활력 UP!’ ▲광주 동구 ‘소태동 소통꽃담을 피우다’ ▲세종 ‘교평마을 공동체 도시재생으로 문화를 품다’ ▲경기 포천 ‘분단의 아품과 수복의 감동적 역사가 함께하는 굴울마을’ ▲강원 춘천 ‘소양강 햇살 머금은 50호 마을’ ▲충남 공주 ‘거리에 多가치 모이자’ ▲전남 순천 ‘덕연동, 다시 뛰는 마을활력 프로젝트’ ▲경남 사천 ‘삼천포의 역사 숨터, 갈대새미 공유마당 회복’ ▲제주 ‘공동체공간 조성을 통한 세대공감 활성화 사업’ 등 23곳이다.
올해 본격적인 사업은 평가과정에서 지적된 사항을 보완한 뒤 6월부터 추진된다.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LH 등 다양한 기관들과 협력해 간담회, 현장방문, 전문가 컨설팅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