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한국주거복지포럼이 5월 25일 건설회관에서 가진 ‘청년·신혼부부 주거지원 정책의 미래’ 토론회(자료:사.한국주거복지포럼)

최근 청년·신혼부부 주거지원 정책 방향에 대한 토론회에서 “청년·신혼부부 주택공급 유형과 지원 방식을 다각화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 가운데, “청년층의 생애주기에 따른 거주 환경 서비스의 변화에도 고민이 필요하다”는 건축사업계 의견도 제기됐다.
(사)한국주거복지포럼이 5월 25일 건설회관에서 가진 ‘청년·신혼부부 주거지원 정책의 미래’ 토론회에서 이태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청년층 내 생애주기(취업, 혼인 등)에 따라 기존 청년 주거지원정책의 대상자 선정기준 등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면서 “고용과 자산형성 프로그램 등과의 연계를 통해 통합적 주거안정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2016년 19~34세 청년단독가구 중 지하, 반지하, 옥탑방에 사는 비율은 5.2%로 집계됐으며, 다른 가구유형보다 주거 여건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단독가구의 56.9%는 월소득 대비 임대료 비율(RIR)이 2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원룸·아파트 등의 일관된 부동산 시장...
   청년·신혼부부 니즈에 맞는 주거서비스 부족”

청년 주거문제가 이처럼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지만, 원룸이나 아파트, 다세대 등의 일관된 형태로 부동산 시장이 조성되어 있어 사용자(청년)의 니즈에 맞게 서비스되기 부족한 현실이란 지적도 나왔다. 청년주거 공간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A 건축사는 “공유주택 등이 주거서비스 모델로 나오기 시작하긴 했지만, 여전히 보편적이진 않다. 변화하는 주거 환경과 주거문화에 대한 청년들의 니즈에 맞는 서비스 모델을 도출해야 하며 비용문제부터 생활환경 등도 포괄적으로 담을 수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실제 공공에서 이뤄지는 주거모델들은 서비스 차원에서 한계를 가지는데, 주거 복지 차원의 지원도 필요하지만 보편적인 청년 생애주기에 따라 거주환경이 사용자에게 매칭되고 서비스 될 수 있도록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