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LHI, ‘쇠퇴도심 및 주거지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라운드테이블’

“실제 도시재생 사업에서는 다양한 건축물 개·보수와 기반시설 정비가 추진된다. 대한건축사협회 등과 연계해 이 사업들을 본격화하는 체계가 마련될 필요가 있으며, 공동체·기술교육 공간 등의 조성도 필요하다.” 
국토연구원과 LH토지주택연구원이 2월 7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한 ‘쇠퇴도심 및 주거지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라운드테이블’에서 서민호 국토연구원 도시재생연구센터장은 주제발표에서 대한건축사협회와의 연계를 통한 도시재생 체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서 센터장은 “주민과 전문가가 참여하는 건축·경관마스터플랜을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에 포함시켜 전문적인 방향성을 갖고 도시재생 사업이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국공유지, 노후공공청사, 폐교 등을 도시재생의 앵커시설로 활용해 구도심 일자리와 주거문제를 해결하고 첨단산업 유치와 문화 거점 공간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도시재생 어울림 플랫폼 설치 ▲문화자산 활용한 지역특화발전 지원 ▲대학타운 조성 등을 제안했다.    

◆ “도시재생, 만능키는 아냐”
   “기존 도시재생 평가·영속성 충분히 고민해야”

이날 토론회에서는 도시재생 정책을 현장에서 따라갈 수 있도록 실질적인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비롯해 도시재생 만능주의와 획일화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오광석 한국해양대 해양공간건축학과 교수는 “사업계획서대로 현장에서 진행하기는 굉장히 어렵다”면서 “도시재생 사업에 참여했던 건축사사무소 등이 마을기업의 주주로 참여를 하는 등의 과정을 거친다면 현장에서도 아웃풋(output)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장남종 서울연구원 박사는 “도시재생으로 모든 걸 해결하려는 것보다 도시재생으로 해결할 문제가 무엇인지를 좀 더 명확히 해야 한다”면서 “기존에 진행됐던 도시재생 사업들의 평가와 영속성도 충분히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진영효 두리환경공간연구소 박사도 “기존 도시재생에서의 과오 중 하나는 너무나 완벽하고 복잡한 계획안을 내놓아 지자체들이 따라가지 못했던 것”이라며 “단계별로 무엇이 필요할지 과정에 대한 실질적인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남균 국토부 도심재생과 과장은 “‘일부러 (사람들이) 찾아오게 할 만한 핵심 거점시설을 만들자’는 구도심 활성화 기본방향을 토대로 국토연, LHI와 함께 이 로드맵을 만들어왔다”면서 “어떤 의견이든 수렴해 도시재생 뉴딜 로드맵에 반영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