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문화대상
최초 지역건축사 대상 수상
지방 현상설계 공모,
서울 대형사무소 독식 여전
‘대한민국 건축사’라는
공동체 의식아래
중앙, 지방 구분 없이
공동체적 삶 구축해야


1992년 제1회 한국건축문화대상을 시작으로 올해 제26회를 맞이한 2017년 한국건축문화대상의 수상작 발표는 우리 건축계의 작은 변화를 알리는 시작점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동안 서울지역 건축사사무소들의 독점이라고 할 수 있었던 준공건축물부문 대상수상 설계자로 올해 처음 지역건축사가 선정됐기 때문이다. 한국건축문화대상이 제정된 이래 사례가 없었던 지역건축사의 대상 수상이 사회공공부문 대상에 전라북도 전주 (주)길 건축사사무소 이길환 건축사의 설계작품(전라북도 과학교육원)으로 최종 결정되면서 그 작은 변화의 시작이 탄생되었다고 생각한다.
그동안 대한민국 최고권위 건축상의 대상 수상작이 서울지역 건축사사무소들의 설계작품들을 중심으로 수상되었다는 점은 서울지역을 제외한 1만여 명에 가까운 지역 건축사들에게 소위 ‘서울지역 건축사, 그들만의 축제’라고 인식되어져 왔다. 그 간의 결과들을 인식하고 올해 심사를 진행했던 것은 결코 아니었지만, 문재인 대통령께서도 강조한 ‘과정은 공정한’ 심사원칙은 지켜나가며 최종심사를 진행한 결과, 공교롭게도 지역건축사의 작품이 대상으로 선정되어 이제는 몇몇의 지방건축사들의 작품설계환경도 서울건축사들의 작품설계환경과 균등해져 가는 것 같은 희망이 보였다.
그러나 그 작은 희망의 기쁨도 잠시... 얼마 전 지방신문에서 한 지역의 주요 공공건축물 설계를 서울지역의 건축사사무소들이 독식하고 있다는 기사를 읽게 되면서 현실을 다시 인식하게 됐다. 지난 10월 1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한 국회의원이 “건축물 디자인 향상을 위한 도시특화사업이 지나치게 서울 업체 배불려주기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고 지적한 것이다.
해당 국회의원은 “행복청은 국토균형발전을 건설 목표로 움직이고 있으나, 대표 공공건축물의 건축사가 100% 서울 본사 업체 소속이다”며 “행복도시 건설 효과와 경제적 부가 대부분 외부로 유출되고 있고, 이는 국가균형발전이란 시대적 과제에 역행하는 정책이다”고 비판했다. 그 대표 건축물들을 이 글에서 나열할 수는 없지만 “해당 건축물들이 국제적인 디자인상과 한국건축문화대상에서도 수상하며 유명세를 떨치기는 했으나, 이 과정에서 세종시를 포함한 충청권 등 지역의 전문가 그룹 및 창의적 신인 건축사 참여가 전무했다는 문제인식을 드러냈다”고 밝혔다.
그렇다. 이는 비단 세종시 뿐만 아니라 이외 지방에서도 큰 규모의 현상설계공모 대부분의 당선작들은 서울대형건축사사무소에서 독식하다시피하고 있다. 일부는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 근거한 공동협약의 가산점이란 명분아래 소속지방 건축사사무소들의 참여를 끼워주다 시피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알짜지분은 어김없이 서울대형건축사사무소에게 돌아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은 지방의 건축인 후진양성에도 악영향을 불러일으키는데, 열약한 지방건축업계의 환경 탓인지 매년 지방대학교의 건축학과를 지원하는 학생 수는 줄어들고 있고, 졸업생들마저 대부분 건축 전공이 아닌 다른 분야로의 취업이나, 서울지역 건축사사무소의 취업을 희망하고 있다.
결국 인력을 구하기 힘든 환경에 처한 지방건축사들은 밑바탕부터 기회조차 가질 수 없다는 이야기인 셈이다. 또한 그 비좁은 틈에 특히 지방의 신인건축사들은 더욱 설자리가 없다. 많은 이들에게 말하고자 하는 점은 이 악순환이 앞으로도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악순환은 결국 경쟁력 저하를 불러오고 지방건축사들을 비롯해 서울건축사들까지 고사(枯死)하는 지경까지 올 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제 우리 건축사들도 중앙과 지방을 구분하지 않은 공동체적인 삶을 추구해야하는 시점에 와 있다. 서울과 지방의 건축문화가 상생하며 발전할 수 있도록 여러 부분적 환경요인을 하나하나 도출하고 문제점을 개선하며, 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그 어떠한 대통합 제도가 마련되어져야 한다고 본다.
우리 ‘대한민국 건축사’라는 공동체를 위해서 말이다.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