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에 가면 가장 유명한 것 중에 하나가 중앙탑(중원 탑평리 칠층석탑 국보 제6호)이다. 그 높이도 그렇고 그 당당한 모습도 그렇고, 시원한 남한강 가의 높은 둔덕 위에 자리하고 있어서 우리를 압도한다. 왜 너른 평야를 놔두고 아무리 상징성이 강하다고 하더라도, 하필이면 이런 적막강산에 세웠을까? 그것에 대한 정확한 기록도 없고 해서, 1993년 중원 탑평리 유적에 대해 발굴을 했다. 어디서 흘러 왔는지 몇 점의 기와 편은 수습되었지만 단 하나의 건물터도 발견되지 않았다. 말하자면 이것은 절집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조형물인 것이다. 우리는 이런 유의 탑들을 많이 본다.

▲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문화재청)

여주 신륵사에 가면 가람 경내 마당 가운데에 아름다운 고려 때의 석탑이 하나 있고, 별도로 떨어져서 남한강 가 바위 위에 전탑이 외롭게 서 있다. 물론 중간에 한번은 해체 보수한 흔적이 보이므로 원 위치가 아니지 않은가? 하는 의문도 들 수 있지만, 틀림없이 제자리를 지키고 있는 특이한 전탑이다. 그리고 그 자리에 서 보면 이것이 무엇 때문에 이 자리에 서 있어야 하는 것인지 알 수 있다. 남한강의 급한 물줄기가 꺾어지는 자리 상하의 물 흐름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리에 탑을 세운 것이다. 바라기 탑, 망탑인 것이다.(앞의 두 단어는 사전에 명기되어 있지 않다) 이 자리에 서서 물의 흐름을 살폈을 수도 있고 남한강을 따라 내려오거나 올라오는 배들의 등대가 되기도 했을 터이다.

이렇게 생각해 보니 낙동강 가에 서 있는 엉뚱한 안동 법흥동 7층 전탑(국보 제16호)도 이해가 가는 것이다. 처음에는 물가에 이렇게 높은 전탑에 걸 맞는 가람을 세우려면 얼마나 큰 사찰일까 하고 추정도 해 봤지만, 이것은 전혀 다른 기능을 가진 탑인 것이다. 절집과 별도로 지어진 바라기 탑인 것이다. 법흥사라는 사찰 이름이 전해지지만 아마도 절터는 이 탑과 어느 정도 떨어져 있을 것이다.

이러고 보니 의성탑리의 5층 석탑(국보 제77호)은 너른 평지에 혼자 우뚝 서 있다. 주변보다 조금 높은 둔덕에 자리하고 있는데 주변 절터가 깎여졌을까 하고 의심할 수 있지만, 그 보다는 이것이 평지 망탑의 역할을 하지 않았을까 하는 심증이 간다. 기둥은 강한 흘림을 가지고 있고 지붕의 모습은 전탑의 형식을 모방하고 있다. 이 점 더욱 연구를 해야 할 부분이다.

▲ 경주 남산 용장사곡 3층 석탑

이와 반대로 산등성이 바위 위에 앉혀진 석탑도 있다. 대표적인 것이 경주 남산 용장사곡 3층 석탑인데 (보물 제186호) 산골짜기가 잘 내려다보이는 곳에 우뚝 서 있다. 보통은 기단이 2단인데 여기는 단층으로 생략하고 있고 옥개석 받침도 통상 5단인데 여기서는 4단씩으로 줄이고 있다. 말하자면 아래쪽에서 볼 때 적절한 비례치를 가질 수 있도록 고려한 것으로 전형적인 바라기 탑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제주에서는 절터의 석탑 말고 탑이라 불리는 조형물이 있는데 ‘방사탑(防邪塔)’이라고 하며 그 모양이 특이하기 때문에 현대의 조형물에서도 많이 응용하는 탑이다. 육지에서 말하는 성황당 탑과 유사한데 이와 비슷한 계단식 석탑들도 예전에는 많이 조성되었음을 본다.

 

▲ 제주 골왓마을 방사탑, 인도 산치대탑, 탑두부의 복발의 형태가 유사함

우리나라의 국토계획인 풍수지리는 동리산문 혜철의 제자 도선에 의해서 완성을 본다. 그는 풍수지리 음양5행설 등을 연구하여 대보살의 구세도인의 법으로 활용했으며, 그 외에도 많은 스님들이 백성들을 풍수해로부터 구제하기 위해 바라기 탑을 짓고 백성들 스스로 재해에 대비할 것을 준비하도록, ‘비보(裨補)’라는 이름으로 조형했음을 알 수 있다.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